Choon-Hee Jang
The Space Between (2019)
for Daegeum, Haegeum and Gayageum

According to the dictionary, ‘space’ refers to a continuous area or expanse which is free, available, or unoccupied, distance between things, physical extent across two or three dimensions; area, volume, position at a distance from one another, or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area one needs within which to live or operate as unlimited or generalised physical extent. In Chinese character, it is 空間. 空 (gong) refers to uncertain, free, zero, none, and 間 (gan) refers to between, regardless, relation, while, during, place with purpose. Though there are so many other meanings of ‘space; 空間’, this piece employed addressed concepts as its motif. As solo or harmony, the sound of each instrument is expanded within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The first sound is extended and made into a different sound within its space; the second sound is extended and made a different sound within its space, too. While this process continues, the audience realises that the first sound has expanded to a very different sound. Eventually, the expanded and very different sound evolved from the first sound is a consequence of sound relations within sp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instrument or between themes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is notion.
: uncertain, free, zero, none
: betweenness, regardless, relation, while, during, place with purpose


photo provided by Choon-Hee Jang

Choon-Hee Jang (born in Gyeonggi-do, 1972) received B. M. and M. M. from Hanyang University. She received D. M. from Indiana University, U. S. A. She won the Orchestra Division award at the 31st Seoul Music Festival and was one of the Finalists at The Second Seoul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Composers. Her works have been performed at the Midwest Composers Symposium, Threshold 2005 festival in the U. S. A., Korean Music Expo, ARKO Contemporary Orchestra Music Festival etc. She is currently teaching at Hanyang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nkuk University and Soongsil University.

Recent Works
  • White Light for Flute, Violoncello and Fixed Media (2019).
  • Reflection for String Quartet (2018).
  • Be hopeful for Wind Orchestra (2017).
    commissioned by Korea Brass Band Association.
  • Trio for Clarinet, Violin and Violoncello (2017).
  • Jung-Jung-Mu-Jin for Flute and Haegeum (2016/2017).


장춘희
대금과 해금, 가야금을 위한
⟨공 그리고 간⟩ (2019)

공간이란 사전적 의미로 ‘물리학적으로 아무것도 없는 빈 곳’을* 의미한다. 동시에 철학적으로는 ‘시간과 함께 세계를 성립시키는 기본형식’을* 물리학적으로는 ‘물질이 존재하고 여러 현상이 생기는 장’을* 의미한다. 이 작품은 이러한 ‘공간’의 개념을 주요 아이디어로 작곡되었다. 악기 각각이 따로 혹은 같이 만들어내는 소리는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전개된다. 맨 처음에 만들어진 소리는 그 공간 속에서 또 다른 소리를 만들어내고, 그 소리는 또 다른 소리를 만들어내고, 처음에 시작되었던 소리는 공간 속에서 처음과는 다른 소리로 만들어지게 된다. 결국은 공간 속에서 소리라는 매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결과물이며, 각 악기 간의 관계 혹은 주제 간의 관계는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서로 연관을 가지고 전개된다.
* 출처: 다음 사전


사진: 장춘희 제공

장춘희(1972년 경기도 출생)는 한양대학교 작곡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박사학위(전공: 작곡; 부전공: 음악 이론 및 디지털 창작)를 받았다. 미국 중서부 작곡가 심포지엄, 아르코 한국창작음악제 공모, 2015년 문턱 축제Threshold Festival 2015 등에 당선되고, 서울작곡국제콩쿠르 본선에 진출한 바 있으며, 한민족창작음악축전 본상, 서울음악제 관현악 부문 입상 등 수상한 바 있다. 현재 ACL-Korea 회원, 국제현대음악협회 한국지부, 창악회, 여성작곡가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양대, 숙명여대, 건국대, 숭실대에 출강하고 있다.

최근 작품
  • 고정 미디어와 플루트, 첼로를 위한⟨하얀 빛⟩ (2019).
  • 현악 사중주를 위한⟨반영⟩ (2018).
  • 관악 합주를 위한 ⟨희망⟩ (2017).
    제42회 대한민국 관악합주경연대회 지정곡(위촉).
  • 클라리넷과 바이올린, 첼로를 위한 삼중주(2017).
  • 플루트와 해금을 위한 ⟨중중무진重重無盡)⟩ (2016/2017).





Revised on Wednesday, September 25, 2019 14:17 (GMT+9) Time at South Korea

Contact Us

Copyright 2018-2019 Symposium on Spatial Sound Arts. All rights reserved.